티스토리 뷰
NTP(Network Time Protocol)
- 네트웍으로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들끼리 클록 시각을 동기화시키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
NTP 설치
rpm -qa | grep ntp
sudo yum install -y ntp ntpdate
NTP 설정
sudo firewall-cmd --permanent --add-service=ntp
sudo firewall-cmd --reload
sudo vi /etc/ntp.conf
# Use public servers from the pool.ntp.org project.
# Please consider joining the pool (http://www.pool.ntp.org/join.html).
#server 0.centos.pool.ntp.org iburst
#server 1.centos.pool.ntp.org iburst
#server 2.centos.pool.ntp.org iburst
#server 3.centos.pool.ntp.org iburst
server kr.pool.ntp.org
server time.bora.net
server time.nuri.net
NTP 실행
sudo chkconfig ntpd on # 부팅과 동시에 실행되게 런레벨 조정
sudo systemctl start ntpd.service
sudo systemctl status ntpd.service
동기화까지는 5~10분정도 시간이 소요
설정 확인
ntpq -p
* 표시가 있는 것이 현재 NTP 데몬이 싱크를 하고 있는 서버
+ 는 ntp 알고리즘에 의해 접속은 가능하지만 sync 를 하고 있지는 않음을 의미
- 는 ntp 알고리즘에 의해 접속은 가능하지만 sync 가능 리스트에서 제외
아무 기호 표시 없다면 접속이 불가능
sudo timedatectl set-timezone Asia/Seoul
https://www.lesstif.com/system-admin/linux-ntp-time-daemon-14090306.html
Linux에서 NTP time daemon 으로 시간 동기화하기
NTP daemon 이 떠 있으면 다음과 같은 에러가 나고 ntpdate 명령어가 먹지 않으므로 ntpdate 로 업데이트할 경우 service ntpd stop 으로 daemon 을 중지해야 함 18 Jan 05:53:49 ntpdate[21340]: the NTP socket is in use, exitin
www.lesstif.com
'Linux > CentO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inux fail2ban 설정 (0) | 2022.08.02 |
---|---|
SFTP 설정 (0) | 2022.05.01 |
cron 사용법 (0) | 2022.05.01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denied
- X-Forwarded-For
- docker
- No space left on device
- tomcat
- port
- catalina.out
- 몽고DB
- logrotate
- fail2ban
- Failed to unlink socket file
- Apache
- ssh
- Permission
- /tmp/mongodb-27017.soc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글 보관함